카테고리 없음
[플젝기록] 2. 기획자가 중심 지키는 법 - 방향성, 우선순위, 리소스 관리 등
찌니쿤
2024. 1. 3. 23:33
기획자에게 중요한 것은 중심 지키기다.
프로덕트의 방향성이 흔들려서는 안된다.
회의 때, 마케터분께서 프로덕트 작업 속도가 지연되며 현재 모집해둔 전문가의 이탈을 우려해 전문가 확보를 위한 새로운 마케팅 전략을 제시하셨다.
전문가를 묶어놓기 위해 전문가의 프로젝트를 홍보하고 실무 피드백, 포폴 등을 유료로 만들어주는 기능 등을 진행하자는 의견이었다. 전문가와 사용자를 매칭해주고 상담을 연결해주는 현재의 기능보다 고도화되며, 전문가 역시 지속적으로 참여하게되며 일종의 강제성을 부여하고 서비스 사용률도 높일 수 있을 것 같다는 점을 기대효과로 삼으셨다.
얼핏 들었을 때 효과적인 방안으로 보일 수 있지만, 프로덕트 방향성과 리소스 등을 고려했을 때 현재로써 적합하지 않다고 생각했고 아래를 근거삼아 반대 의사를 표시했다.
1. 프로덕트 방향성 관점
우리 서비스가 집중해야 할 것은 현재 모아놓은 전문가 관리보다 서비스의 고도화, 전문성에 있다. 프로덕트가 좋아야 유저가 확보되고, 그 수가 많아야 더 좋은 전문가가 유입되는 것이다. (기본에 충실하자)
2. 프로덕트 리소스 및 우선순위 관점
부차적인 것에 집중하기에 현재 리소스가 충분하지 않다. 현 프로덕트의 우선순위는 프로덕트 제작 (현 서비스 안정적인 개발 및 테스트) > 유저 마케팅 > 전문가 확보 > 전문가 유지/관리이다.
3. 초기 서비스 이미지 관점
초기 서비스라면 '유료'의 이미지를 심어서는 안된다. 어떤 것으로도 검증되지 않은, 신뢰를 확보하지 않은 서비스를 어느 누가 피땀눈물이 담긴 '돈'을 주고 지불하겠는가.
앞으로도 다양한 아이디어와 의견 교류가 있을 수 있기에, 큰 틀 (기준) 을 잡고 가면 좋을 것 같아 기록해둔다.