기획자는 프로덕트 소통의 중심에 있어야 한다. 서비스의 메인 주제가 무엇인지 명확하게 파악하고, 디자인, 개발 등의 리소스까지 고려하여 최소화하는 방안을 고민해야 하며, 정해진 일정 안에서 효율적으로 서비스를 런칭할 수 있도록 유도해야 한다. 본 글에서는 개발 일정을 어떻게 산출해야 하며, 지연되었을 때 어떤 마음가짐을 가져야 하는지 다뤄보고자 한다. 1월 3일 오후, 대표님, 마케터님과 공동 회의를 진행했다. 악명높은 개발 CORS 오류로 인해 예상된 일정보다 프로덕트 완성 일정이 계속 미뤄지고 있었고 이로 인해 대표님과 마케터분이 약간의 불안을 느끼고 계심을 눈치챘다. 개발 이슈는 항상 예상할 수 없고 불가피하며, 모두가 본업으로 보수를 받고 근무하는게 아니라 사이드 형태로 협력하고 있는 프로젝..