프로덕트제작 2

[플젝기록] 2. 기획자가 중심 지키는 법 - 방향성, 우선순위, 리소스 관리 등

기획자에게 중요한 것은 중심 지키기다. 프로덕트의 방향성이 흔들려서는 안된다.  회의 때, 마케터분께서 프로덕트 작업 속도가 지연되며 현재 모집해둔 전문가의 이탈을 우려해 전문가 확보를 위한 새로운 마케팅 전략을 제시하셨다.   전문가를 묶어놓기 위해 전문가의 프로젝트를 홍보하고 실무 피드백, 포폴 등을 유료로 만들어주는 기능 등을 진행하자는 의견이었다. 전문가와 사용자를 매칭해주고 상담을 연결해주는 현재의 기능보다 고도화되며, 전문가 역시 지속적으로 참여하게되며 일종의 강제성을 부여하고 서비스 사용률도 높일 수 있을 것 같다는 점을 기대효과로 삼으셨다.   얼핏 들었을 때 효과적인 방안으로 보일 수 있지만, 프로덕트 방향성과 리소스 등을 고려했을 때 현재로써 적합하지 않다고 생각했고 아래를 근거삼아 반..

카테고리 없음 2024.01.03

[플젝기록] 1. 개발 일정 산출하기 = 최소일정 * 3

기획자는 프로덕트 소통의 중심에 있어야 한다.  서비스의 메인 주제가 무엇인지 명확하게 파악하고, 디자인, 개발 등의 리소스까지 고려하여 최소화하는 방안을 고민해야 하며, 정해진 일정 안에서 효율적으로 서비스를 런칭할 수 있도록 유도해야 한다.  본 글에서는 개발 일정을 어떻게 산출해야 하며, 지연되었을 때 어떤 마음가짐을 가져야 하는지 다뤄보고자 한다. 1월 3일 오후, 대표님, 마케터님과 공동 회의를 진행했다. 악명높은 개발 CORS 오류로 인해 예상된 일정보다 프로덕트 완성 일정이 계속 미뤄지고 있었고 이로 인해 대표님과 마케터분이 약간의 불안을 느끼고 계심을 눈치챘다.  개발 이슈는 항상 예상할 수 없고 불가피하며, 모두가 본업으로 보수를 받고 근무하는게 아니라 사이드 형태로 협력하고 있는 프로젝..

카테고리 없음 2024.01.03